1️⃣ 개발 개요 및 개발 목표


<aside> <img src="/icons/drafts_blue.svg" alt="/icons/drafts_blue.svg" width="40px" /> 주제

폐지로 생계를 유지하시는 어르신들을 위한 폐지 위치 정보 제공 애플리케이션 제작

</aside>

<aside> <img src="/icons/drafts_blue.svg" alt="/icons/drafts_blue.svg" width="40px" /> 개발 배경 및 필요성

<aside> 📗 AI·SW 동아리 활동 중 디지털 소외 계층을 대상으로 디지털 기기 사용법을 알려드리는 봉사활동을 통해 많은 어르신이 디지털 기기들과 앱 사용에 큰 어려움을 겪고 계신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최근 무더운 여름 하굣길에 생계를 위해 힘들게 폐지를 주워가시던 어르신들을 보며 고연령층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앱을 개발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어르신들이 이해하시는 데 어려움이 없고, 사용하기 간편하면서 폐지를 주우시는 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앱을 제작하고 싶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앱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aside>

<aside> 1️⃣ 명확하고 직관적인 UI

쓰기 간편하고 이해하기 쉬운 폐지 수거 지원 앱을 만드는 것을 실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어르신들도 더욱 명확하고 직관적인 UI로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하고 편리한 앱 작동 방식으로 더욱 앱 사용법의 이해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하는 앱을 설계하게 되었습니다.

</aside>

<aside> 2️⃣ 전 연령층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지도 기능

기존의 지도 앱들의 UI는 대부분의 어르신이 앱 작동방식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고 앱을 개발하였습니다. 따라서, 디지털 소외계층이신 어르신들이 사용하시기엔 힘든 점이 많고 기존 지도 앱을 보완하기 위해, 기능은 최소한 필요한 것들만 배치하여, 깔끔하게 만들고, UI 또한 아이콘이 아닌 한글로 작성하여 직관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aside>

<aside> 3️⃣ 생계유지에 도움이 되는 폐지 수거 도움 기능

폐지지원대 앱은 폐지로만 생계를 이어 나가시는 어르신들에게 폐지 위치를 확인하고 바로 길 안내를 받을 수 있는 기능으로 더욱 편리하고 쉽게 폐지를 찾으시는 데에 매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폐지와 관련된 앱이나 서비스는 아직 국내에 없는 것으로 보이며 더군다나, 폐지 생계유지 어르신들을 타깃으로 한 앱은 없는 것으로 보이기에 폐지지원대 앱이 폐지 생계유지 어르신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aside>


</aside>

<aside> <img src="/icons/drafts_blue.svg" alt="/icons/drafts_blue.svg" width="40px" /> 개발 목표

  1. 폐지의 위치를 누구나 쉽게 신고하고, 어르신들께 보다 쉽게 폐지를 수거하실 수 있게 도와드릴 수 있도록 폐지에 핀을 찍어 지도에 표시 하도록 개발
  2. 핀이 클릭되었을때, 제일 편안하고 빠른 길로 안내해 드릴 수 있도록 개발
  3. 짧은 시간에 많은 수입을 얻을 수 있도록 돕고, 빠르게 집으로 돌아가셔서 쉬실 수 있도록 개발 </aside>

2️⃣ 관련 연구


<aside> <img src="/icons/drafts_blue.svg" alt="/icons/drafts_blue.svg" width="40px" /> 관련 연구 자료와 비교

기존의 문제점 기존 관련 연구 개발하려는 프로그램
어르신들이 타자에 익숙 하지가 않음 키보드 타자를 연습할 수 있는 앱을 제작함 (디지털훈민정음) STT(Speech to Text)를 사용해서 키보드 자판이 아닌 음성인식을 통하여 값을 입력함.
어르신들은 작은 글씨를 읽는데 어려움을 겪으심 기존 화면을 키워서
글씨를 크게 볼 수 있게 해주도록 제작함. (돋보기 & 큰 글씨 연락처) UI를 크고 직관적으로 설계하여, 사용에 어려움을 겪지 않으시도록 함.
가야 하는 곳이 있는데 가는 길을 모를 때가 있음 어디든지 지도에서 검색하여 길찰기를 할 수 있음 (Google 지도) Google 지도는 UI가 직관적이지 않고, 어르신분들이 사용하기엔 어려움이 많은 데 비해 폐지 지원대 앱은 UI가 직관적이고 간단하여 어르신 분들도 사용하기 간편함.
기존 갤럭시의 홈 화면에 너무 많은 앱 아이콘이 있음 한 페이지에 적은 앱 아이콘 배치, 직관적인 디자인 (갤럭시 이지 모드) 기능의 수를 최소한으로 하고, 직관적으로 아이콘을 쓰지 않고 글로 버튼을 구성시킴.
</aside>

3️⃣ 예상 결과물(프로토타입)


<aside> <img src="/icons/drafts_blue.svg" alt="/icons/drafts_blue.svg" width="40px" /> 예상 결과물(프로토타입) 및 설명

<aside> 1️⃣ 초기가입

image01.png

쉽고 심플한 UI와 딱 두 가지 질문(닉네임과 역할 선택)만으로 가입을 진행하고, 자판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STT를 사용하여 기입함으로써 가입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으시지 않도록 도와드립니다.

</aside>

<aside> 2️⃣ 폐지 수거 사용자 화면

image02.png

아이콘 버튼이 아닌 글씨 버튼으로 직관적으로 이게 어떠한 버튼인지 알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파랑 폐지를 클릭하면 해당 핀에 있는 폐지의 정보를 보여주고 작업 시작 버튼을 노출합니다. 작업 시작 버튼을 누르면 길 안내가 시작되고 해당 폐지 핀이 다른 사람들에게 노란색으로 변경됩니다.

</aside>

<aside> 3️⃣ 폐지 수거 사용자 교류

image03.png

노란 폐지 핀은 이미 다른 사용자가 해당 핀에 작업을 하고 있음을 뜻합니다. 해당 노란 핀을 클릭하면 작업 시작 버튼 대신 교류 요청이 뜨며 교류 요청 버튼을 누르면 STT로 메시지를 작성하여 교류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합니다. 교류 요청이 성사되면 요청자의 화면에도 길 안내가 시작됩니다. 작업 진행 시 우측 상단에 교류 버튼이 새롭게 뜨도록 만들고 몇 명이 교류를 신청했는지 숫자를 보여줍니다. 해당 교류 버튼을 클릭하면, 교류 수락/거절 팝업이 뜨고 사용자는 메시지를 읽고 수락/거절을 할 수 있습니다.

</aside>

<aside> 4️⃣ 폐지 신고 사용자 화면

image04.png

아이콘 버튼이 아닌 글씨 버튼으로 직관적으로 이게 어떠한 버튼인지 알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화면에서 폐지의 위치를 찾고 해당 위치를 클릭하면 핀 추가하기 팝업이 뜹니다. 이후 해당 장소의 사진을 한 장 찍고 업로드하여 추가하면 지도에 파란 폐지 핀이 추가됩니다. 파랑 폐지를 클릭하면 해당 핀에 있는 폐지의 정보를 보여줍니다.

</aside>

</aside>

4️⃣ 주요 기능